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창원 버스 3001

덤프버전 :

||


파일:동양_1060_3001.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3001번
기점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대방동(대방동종점)종점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무동리(STX칸1차아파트후문)
종점행첫차06:00기점행첫차06:00
막차23:00막차23:00
배차간격평일 31~46분 주말/공휴일 57~75분
운수사명동양교통인가대수4대[1]
노선대방동종점 - 남산초등학교 - 남양초등학교(더샵센트럴파크2단지) - 대동백화점 - 은아아파트 - 창원시청 - 정우상가(창원시청) -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 농업기술센터 - 창원공업고등학교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동서식품 - 중방마을회관 - 감계중학교(푸르지오아파트) - 감계휴먼빌 - 감계입구 - 동전 - 무동입구 - STX칸2차아파트 - 휴먼빌1.2단지 - STX칸1차아파트후문


2. 개요[편집]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거리는 54.6km다.


3. 역사[편집]


  • 2023년 6월 10일에 창원시 시내버스 노선 전면개편으로 신설되었다.

  • 2023년 8월 26일 19번의 재운행 개시와 함께 북면온천(신촌리)~무동지구 구간이 단축되고 창원시청~대방동 구간이 연장되었으며, 허앤리병원, 의창구청, 창원역 경유에서 농업기술센터, 창원종합터미널, 동서식품 경유로 변경되었다.

4. 특징[편집]


  • 당초 19번을 급행좌석으로 전환하여 신설된 노선이지만 19번이 폐선에 따른 무동, 감계지구의 반발 끝에 2달만에 운행을 재개하면서 이후로는 무동, 감계지구와 구 창원지역을 빠르게 잇는 급행 노선으로 재편되었다.

  • 신설 초기 창원역 경유 창원시청 종점 시절에는 도계광장에서 시내방향으로 가는데도 일반 시내노선이 정차하는 곳(115302)이 아닌 140번, 읍면버스, 마을버스가 정차하는 곳(115304)에 정차했다.

  • 2023년 8월 26일 이전의 창원역 경유 창원시청 종점 노선 시절에는 17번과 많은 구간이 겹치는데다 창원역을 경유하여 소요시간이 길고 급행노선임에도 17번보다 짧은 구간을 운행하여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를 보완하고자 노선을 창원종합버스터미널 경유 및 대방동 연장으로 조정한 이후로는 북면창원대로를 거쳐 도심으로 바로 연결되어 창원종합버스터미널과 바로 연계되고[2] 도심 접근에 있어서도 시간경쟁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 창원 버스 3000과 함께 창원시 좌석버스 노선 중 구 창원 지역 내에서만 운행하는 둘뿐인 노선이다.


4.1. 시간표[편집]


창원시 직행좌석버스 3001번 평일시간표
2023년 08월 26일기준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대방동발무동발
00 4506시00 37
3007시15
1508시00 45
00 4509시30
3010시15
1511시00 45
0012시30
3013시15
1514시00 45
0015시30
3016시15
1517시00 45
0018시31
3019시17
1520시03 49
01 4721시35
2922시20
0023시00


창원시 직행좌석버스 3001번 주말,공휴일시간표
2023년 08월 26일기준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대방동발무동발
0006시00
0007시15
0008시15
0009시15
0010시15
0011시15
0012시15
0013시15
0014시15
0015시15
0016시15
0017시15
0018시16
0019시17
0120시18
0221시19
0322시10
0023시00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14:48:51에 나무위키 창원 버스 300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공휴일 3대 운행.[2] 17번을 제외하면 창원공고 정류장에 하차하여 갈 수 있긴 한데 도보 거리가 길고 17번이 연계가 안되어 감계, 무동 지역 주민들의 터미널 접근이 불편했다.